본문 바로가기
초보자 식물 가이드

11월 대비 보일러 난방 시작 전·후 7일, 초보자용 식물 보호 가이드

by 식물과 나 2025. 10. 27.

 

11월 대비 보일러 난방 시작 전·후 7일, 초보자용 식물 보호 가이드

① 난방 켜기 전: 화분 띄우기·물 아끼기·자리 정리

11월이 코앞으로 다가온다. 점점 바닥난방을 켜면 흙 속 뿌리가 먼저 뜨거워진다. 11월 추위를 대비하여

세 가지만 준비한다. 첫째, 화분을 바닥에서 ‘손가락 두 마디’ 정도 띄운다. 책·나무도마·코르크 받침을 겹쳐 공기가 드나들 틈을 만든다. 둘째, 난방 전날은 물을 아낀다. 겉흙이 말라 보여도 깊은 곳은 미지근할 수 있어, 흠뻑 주면 뿌리가 지치기 쉬어진다. 셋째, 자리를 정리한다. 유난히 따뜻한 바닥·창 아래·배관 위는 피하고, 바람이 살짝 흐르는 곳으로 옮긴다. 유리창과 잎은 손바닥 한 장 거리로 띄워 찬 기운이 바로 닿지 않게 한다. 조명은 타이머로 하루 10~12시간만 켜고, 잎이 뜨끈하면 한 뼘 뒤로 물려서 정리해본다.

 

나의 실패담: 첫 겨울에 나는 이 준비를 건너뛰고 전날 물을 넉넉히 줬다. 다음 날 잎끝이 바삭해져서 또 물을 줬고, 상황은 악화됐다. 바닥열+마른 공기+많은 물이 겹쳐 뿌리가 먼저 지쳐버린 것이다. 이후 화분을 높여 띄우고 전날 물을 아끼자, 끝마름이 현저히 줄었다. 작은 준비가 큰 차이를 만들게 된 것이다.

② 첫 1~3일: 하루 두 번 점검·물은 참기·응결 체크

물의 양을 정하는게 정말 중요한데 처음 사흘은 ‘많이, 자주’가 아니라 ‘적게, 일정하게’가 정답이다. 아침과 밤, 딱 두 번만 확인하고 낮에는 화분을 많이 이동하지 않는다. 받침이나 바닥에 물방울이 맺히면 화분이 너무 낮다는 신호이니 받침을 한 겹 더 올린다. 잎 전체가 축 처지지 않았는데 끝만 마르면 물 부족이 아니라 공기 건조일 때가 많다. 이때는 물을 미루고, 얕은 트레이에 물을 손가락 한 마디 높이로만 담아 옆에 둔다. 잎은 젖지 않지만 주변 습도만 살짝 오른다. 혹시 흙에서 퀘퀘한 냄새가 난다면 그것은 통풍이 막힌 것이므로 선풍기를 미풍 정도로 바닥을 스치게 20~30분 돌려본다. 무엇보다 첫 72시간은 웬만하면 물을 주지 않고 기다려본다. 꼭 필요하면 화분 가장자리로 소량만 보충해준다.

시행착오 끝에 성공담: 다음 해에는 사흘 동안 물을 참았고, 아침엔 창을 열어 10분 환기, 밤엔 보일러를 한 칸 낮춰 잎이 쉬게 했다. 그랬더니 호야 줄기마름이 멈추고 안스리움 새잎이 구겨지지 않고 펼쳐졌다. 비결은 단순했다. 처음 사흘의 무조건 ‘물 참기’와 ‘높이 띄우기’였다.

③ 4~7일: 세 가지만 꾸준하게 -받침·잎끝·무게

넷째 날부터는 습관을 고정하도록 노력해본다. 숫자 대신 세 가지만 본다. 첫째, 받침 상태를 살펴본다. 며칠 연속 물방울이 없으면 높이가 맞다는 뜻이고, 다시 보이면 한 겹 더 올린다. 둘째, 잎끝 상태를 들여다본다. 끝이 타들면 물 대신 가습 시간을 조금 늘리고, 잎이 축 처질 때만 소량으로 물을 준다. 셋째, 화분 무게를 꼼꼼하게 체크한다. 어제와 비슷하면 그대로 두고, 확 가벼워졌지만 잎이 멀쩡하면 공기만 보충해준다. 빛은 부드럽게 유지하고, 열감이 느껴지면 조명을 한 뼘 멀게 해본다. 겨울 초입엔 비료를 서두르지 않고, 무늬 식물은 특히 쉬어 간다. 낮에는 잠깐 환기를 시켜주고, 밤에는 커튼을 살짝 열어 공기가 흐르게 한다. 내 루틴은 월·목 아침에 물 여부만 확인, 주말 아침 10분 환기, 매일 밤엔 ‘받침→잎끝→무게’ 순서로 빠르게 점검하는 것이다. 스탠드가 없어도 책을 묶어 임시 받침을 만들고, 컵받침·나무도마로 단열을 보강하면 충분하다. 결론은 간단하다. 처음 7일, 물을 참기·화분을 높이기·하루 두 번만 점검하기. 이 세 가지만 지키면 초보도 겨울 초입을 무리 없이 넘길 수 있을 것이다.